생활
헷갈리는 쓰레기 분리배출, 이렇게 하면 됩니다! (2025년 기준)
kuiper_nix
2025. 6. 19. 14:09
쓰레기 분리배출, 열심히 해도 맞게 했는지 헷갈릴 때 많죠. 재활용이 가능한 줄 알고 버린 것이 실제로는 일반쓰레기일 수도 있고, 반대로 그냥 버린 것 중 일부는 재활용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.
오늘은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하는 대표적인 쓰레기 분리배출 사례와 함께 올바른 방법을 알려드릴게요.
✅ 1. 플라스틱인데 재활용 안 되는 경우
플라스틱이라서 다 재활용되는 건 아닙니다.
재활용 불가한 플라스틱의 대표적인 예는 아래와 같습니다:
- 오염된 일회용 도시락 용기: 기름기나 음식물 찌꺼기가 묻은 상태 → 일반쓰레기
- 블랙박스, 장난감 등 ABS·PC 소재: 고형 플라스틱은 분리배출 대상 아님
- PVC 재질(예: 고무장갑, 포장지): 플라스틱처럼 보여도 재활용 불가
👉 해결법: 깨끗이 씻거나 닦을 수 있는 경우에만 플라스틱으로 분리배출!
✅ 2. 종이컵, 종이팩 헷갈림 주의
- 종이컵: 내부 코팅(방수층)이 있어 그냥 종이로 분리 안 됨
→ 깨끗이 헹궈서 종이류로 배출 (오염되면 일반쓰레기) - 종이팩(우유, 두유): 일반 종이와 다름
→ 별도 분리배출함(또는 종이팩 수거함)에 배출
👉 종이팩은 일반 종이보다 재활용 가치가 높기 때문에 따로 모으는 게 좋아요!
✅ 3. 비닐, 랩류는 어떻게?
비닐류는 다음 기준을 기억하세요:
- 깨끗한 비닐: 과자봉지, 포장지 등 깨끗한 비닐 → 분리배출
- 오염된 비닐: 음식물·기름 묻은 상태 → 일반쓰레기
- 스트레치필름(랩): 이물질이 잘 달라붙고 얇기 때문에 대부분 재활용 안 됨
👉 깨끗이 헹궈서 말린 비닐만 재활용 가능! 그렇지 않으면 쓰레기통으로~
✅ 4. 투명 페트병 따로 배출해야 하나요?
네, 맞습니다!
2021년부터 아파트, 2022년부터는 일반주택에서도 투명 페트병을 일반 플라스틱과 분리해서 배출해야 합니다.
- 라벨 제거 후 → 압축해서 투명 페트병 전용 배출함에 넣기
- 생수병, 음료병 등 투명한 병만 해당
- 유색 페트병(예: 초록색 사이다병)은 일반 플라스틱으로 배출
👉 투명 페트병은 고품질 섬유로 재활용되기 때문에 분리수거 가치가 매우 높아요.
✅ 5. 헷갈리는 기타 품목들
품목분리배출 여부비고
스티로폼 | ○ | 깨끗한 상태일 경우에만 가능 |
종이 호일 | ✕ | 알루미늄 코팅 → 일반쓰레기 |
피자박스 | △ | 기름 묻지 않은 부분만 종이로 가능 |
칫솔, 면도기 | ✕ | 복합재질 → 일반쓰레기 |
은박 포장지 | ✕ | 비닐과 금속 혼합 → 재활용 불가 |
파손된 유리컵 | ✕ | 유리병은 가능, 컵·식기는 일반쓰레기 |
마무리
분리배출은 단순히 쓰레기를 분류하는 게 아니라, 환경을 지키는 첫 걸음입니다.
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습관이 모여, 재활용률을 높이고 자원 낭비를 줄일 수 있어요.
“이건 뭐지?” 헷갈릴 땐 깨끗한가? 단일 재질인가? 이 두 가지를 기준으로 판단해보세요!
📌 추가 팁:
환경부에서 운영하는 내 손안의 분리배출 앱이나 지자체 분리배출 가이드를 참고하면 더욱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.